♣작은 정원이야기/식물에세이

제6회 작가정원(2025년) 관리 뽀인트

FloralPig 2025. 6. 2. 09:43
반응형

지난 5월31일 올해 작가가 직접 알려주는 식재설계 공모전 정원 설명이 있었다.

정원의 취지와 관심을 두고 관리해주었으면 하는 것들을 세심하게 전달하는 너무나도 뜻깊은 시간이었다.  직접 경험도 하면서.

구성은 1. 푯말

           2. 공모 당시 전경 그림

           3. 해봄 축제때 찍은 사진 (4월 말 찍은 사진이니 1달 후 변화를 볼 수 있다.)

           4. 작가님 한컷

           5. 설명 사진들과 관리 포인트 등

 

------------------  그 많던 둠범은 다 어디로 갔나

 

 

 

- 둠벙은 논물을 영상하는 우렁 등 생태계를 느낄 수 있는 요소로 소금쟁이가 숨어 있고 이날 미꾸라지를 방생한다고 했다.

- 둠벙을 사이에 두고 사계절의 풍광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미나리 아재비, 물사리, 억새 등 수생식물과 수변식물이 있다.

- 울타리를 은행나무를 엮어 만들었는데 신기하게 은행잎이 돋아나 있었고 이 울타리가 만든 그늘 덕에 돌단풍이 적응하고 있다.

   울타리 사이 사이를 공조팝나무가 채우고 있다.

관리뽀인트

 . 보기 안좋은 마른잎 제거, 져버린 꽃 등은 드라이한 분위기를 위해 남겨 두지만 보기 흉하면 제거하는 방향으로.

 . 둠벙 아래 방수포가 깔려 있어 수변의 식물들이 건조해 취약함.  관수 필요

 

------------------  1도 정원, 작은 변화가 불러온 시원함

 

 

- 지구 전체를 1도 낮추는 것은 어렵지만 우리 공간을 1도 낮추는 것은 실천이 가능함. 

  주변 온도 1도 낮추기 위한 정원임.  (움푹 파인 형태로 지형디자인)

- 바닥돌과 쇄석은 빗물 등 물길을 유도를 위한 형태임.

-과습과 장마철 오버플로워 방지를 위해 바닥 속에 배관 설치함.

- 점과 선 / 음지와 양지의 조화를 위한 식재임. (그늘과 양지가 구분되어 식재식물을 달리 구성함)

관리뽀인트

 . 잘 관리된 느낌이 들도록 관리 필요(인공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 둠벙에 방수처리되지 않아 관수 시 물이 있도록  채워주는 것이 좋음.

 . 버드나무 가지가 늘어져 미관과 관람 불편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가지 정리 필요.

 

------------------  풀파워-잡초의 재발견 (설명을 듣다보니 사진이 부족, 보충 예정)

 

 

 

- 환경(기후)에 잘 적응하고 번식도 왕성한 잡초의 능력을 정원에 접목,

  잡초의 성질을 갖은 C4식물(사초), 로제타형식(냉이, 민들레) 등을 도입.

- 정원의 형태는 파워의 형태를 따왔음.

관리뽀인트

 . 사초 포인트와 블럭형식으로 식재했는데 각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 필요

 . 잡초가 많이 돋아 있으므로 관리 필요

 

 

------------------  정원가의 레시피

 

 

 

- 어느 정원에나 적용할 수 있도록 모듈형식을 제안했음.  (A구역은 5개 모듈, B구역은 10개 모듈)

- 뿌리가 깊어 건조에 강한 식물을 선택함.  ( 강건한 프레리 식물군 )

- 사초를 중심으로 리듬감을 느낄 수 있을 것임. 

- 멀칭 특징: 미네랄 멀칭

- 배수를 위해 40cm 이상 파서 배토, 객토 함.  특히 엣지 부분은 깊이 파 멀칭으로만 채움

- 골격조(??), 피복족(실새풀 등), 동반조, 채움조(금영화, 수레국화 등 1,2년생 자가 파종 가능)

관리뽀인트

 . 라일락은 가을 강전정 필요

 . 의도와 달리 관람자의 재미를 위해 꽃식물을 추가 식재했음.  시든 잎이나 보기 흉한 마른 꽃 정리 필요

 . 잡초 제거

 . 

------------------  도도담담

 

 

 

 

- 유일하게 구조물이 있는 정원: 수직식물, 넝쿨식물 지지용으로 약품처리한 목재를 심어 유지상태를 테스트 중

- 나무, 석재, 멀칭, 엽면시비액 등을 준비해서 다양한 체험이 가능했음.

관리뽀인트

 . 클레마티스, 인동 등 넝쿨식물이 구조물에 안착할 수 있도록 유도. (인동이 마른 나무를 타고 있는 것은 예외)

 . 구조물 안 고인물이 있어 관수 시 오버플로우 필요 (모기 등 서식 우려)

 . 진딧물, 응애 등 병충해 모니터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