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격증 중독

사회복지사1급 정리1

FloralPig 2015. 2. 24. 10:46
반응형

연대도 외울 것이 많고 학자마다 이론이 틀리면서도 유사하고 혼동이 많이 되서

엑셀로 나름 정리를 해보았다.

 

체계
사회복지실천과정
사회복지실천기술
가족치료모델
사회복지 법제
사상_사람들
발달
연대기
사회복지행정 이론
지역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사 역할
사회복지 복지국가 유형화
정책결정모형
기타

 

순서로 시트마다 구분하여 취약한 내용만 추려서 요약했다.

 

 

사회복지 정리 총괄.xlsx

 

 

연  대  기

 

영국 미국 한국 기타
1601 구빈법(엘리자베스)-가족책임원칙
   작업장,구빈원,중앙집권적 빈민통제
   최초 국가책임 / 공공부조 효시
   빈민:노동력있는 빈민, 없는 빈민,
          요 보호 아동
           
1662 정주법-거주지 제한법
전 거주지로 강제 송환(1795년 수정)
농촌인력
호가보
           
1722 작업장법(Bristol작업장)-청부제도
이윤추구적 빈민고용론(부랑억제,이윤획득),직업보도프로그램,원내구제
           
1782 길버트법(작업장 인권 권고)원외구호
인도주의적 구빈제도
교구-빈민공장건립-빈민노동
구빈 비용 조달/순환고용제도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기원
   유급구빈사무원 채용
           
               
1795 스핀핸랜드법-가족수당제도 시초
빵가격,
가족수
극빈 근로자 대상->but 왜곡됨
           
               
1800~1950초 온정주의/집합적 지역사회행동
두가지 전통
           
1833 공장법-아동 노동여건 개선(9세 미만)
* 최초 아동복지법
           
1834~
1948
신구빈법(개정구빈법)-전국, 도덕적 해이
원외
구제 금지

(열등처우,작업장제도
균일처우-전국공통)
1865~1914 자선조직기간(사회적조건/구호의 개별화)
자선행위 비판(무책임,무계획)->반성
이중지원, 합리적 협력체계,우애방문원 실태조사=>빈곤 탈피
인보관운동, 이웃개념,사회참여자로 변화
     
1869 COS            
    1877 자선조직협회(거틴목사)
   뉴욕 버팔로
       
            1883 질병보험법(비스마르크 사회보험 시작)-세계최초 사회보험제도 - 조합
1884 토인비홀-세계최초 인보관(바네트 목사)         1884 산재보험
    1886 근린길드(코인트,뉴욕,인보관)        
1889 찰스부스:런던8계층-빈곤 4계층
    노령연금법 제정 노력
1889 헐하우스(아담스,시카고,인보관)     1889 연금보험/폐질연금
1901 시봄라운트리-오크시 1,2차 빈곤분류
    최저생계비 산출 공헌
           
        1906 인보관    
1908 노령연금법- 무갹출,70세 1908 자선연합회-피츠버그
(지역공동모금)
       
1909 최저임금법     1910 일제강점이전
촌락-두레,계,품앗이/국가:오가통제도,의창,
   
    1910~
1920
자선연합회(상공회의소) 1910 일제강점이후-협동조합운동, 각종 어린이보호시설 설립,조선구호령    
1911 국민보험법-건강보험,실업보험
* 최초 사회보험
1914~1929 지역공동모금과 협의회 발전        
1914 1차대전 1914 사회복지행정 교과 등장        
    1917 리치몬드 「사회진단」        
        1921 태화여자관-최초 사회복지관
1933태화사회관->1953태화기독교사회관->1980태화기독교사회복지과
1929 대공황 1929~1954 공공복지사업발전시기        
    1933 뉴딜정책(루즈벨트)        
    1935 사회보장법:빈곤-사회구조 원인
실업보험-주정부 운영
노령연금-연방정부 재정
공공부조-연방정부
       
1942 베버리지 보고서-사회복험과 관련서비스
균일갹출, 균일기여, 수혜대상 분류
5대악=결핍,질병,나태,무지,불결
궁긍 목표=궁핍 해소
           
        1944 조선구호령 : 공공부조 기본법
생활보호법 모태
13세이하, 65세 이상, 임산부
불구,장애-생활부조,의료,조산,생업부조,장제부조
-신청주의(자산조사)
-거택보호원칙
국가 1/2 or 7/12
도 1/4    읍면동 나머지
        1947 이화여대 기독교사회사업학과 설치-전문적 사회복지
1948 국민부조법-구빈법의 종식
국가적 빈곤관 -> 사회적 빈곤관
           
1950~1960후 지역사회복지(태동기)
수용시설의 부정적 평가/노인,정신질환자 대상 확대
    1950~1970 해방이후-외국민간원조기관  지역사회복지관/민간사회복지관 설립
지역사회개발사업 중심(새마을운동)
    1950년대 사회복지실천방법 통합 1952~1970 KAVA 외국민간원조단체
한국연합회(7개 기관)
    1955~지역복지정착시기
정부지원축소(인플레이션,석유파동)
->복지프로그램 축소(1970년대)
       
        1959 서울대학부-사회사업학과    
    1960년대 역량강화 관점 1961 생활보호법    
    1964 빈곤과의 전쟁(존슨)
지역사회개혁프로그램 실시
1964 의료보험법-유명무실    
    1965 헤드스타트프로그램(교육지원)
-페리프리스쿨만 성공
       
        1967 한국사회사업가협회    
1960후~1980 후반지역사회복지(형성기)
시봄,하버트,바클레이보고서
           
        1970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 사회복지사업 종사자 자격제도    
    1970초반 과제중심모델(리드-앱스타인)        
1973~
1974
석유파동            
1975 신자유주의(대처)     1977 의료보험 강제 적용
500인 이상 사업장
   
1978~
1980
석유파동            
    1980년대 레이건노믹스-작은정부
    지방정부 책임 강조
1980~1990 지역중심 공공지역사회복지 화가대, 자원봉사,재가복지
사회복지관 사업 전국 확대(1980년 후반)  전문성강화(1990년대 이후)
        1983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사회복지관설립 근거
   
        1985 개칭:한국사회복지사협회    
        1985 시도 종합사회복지관 설립 시작
        1987 사회복지전문요원 배치
-5대직할시
   
1980후~ 지역사회복지 (발전기)
민간부문 상대적 강조
           
1988 그리피스보고서
  서비스다양화, 가족.비공식부문, 민간
  부문,자원부문   -강조
  소비자 선택권(케어매니지먼트 포함)
           
        1991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991 재가복지봉사센터 설치 운영지침
        1992 재가복지봉사센터 최초 설립
129(사회복지관:105,노인복지관:8,장애인복지관:16)
        1995 사회보장기본법    
        1997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제정    
        1997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시행    
        1998 시설평가 3년 법제화(사회복지사업법 개정)
        1998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으로 개정-지역공동모금회->중앙공동모금회 지회로 전환
        1998 16개 광역시도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설립
        1998 정신사회복지사 2급 시험    
        1999 사회복지전문요원 일반직 전환 지침
        2000~ 참여복지, 지역주민 능동적 역할    
        2000.01. 일반직 사회복지전담공무원    
        2000 국민건강보험법-통합    
        2000.10.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시행    
        2000.10. 자활사업 시행 본격화  의무:조건부수급자
       희망참여:자활금여특례자, 일반수급자, 차상위
        2002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급 시험    
        2003 사회복지사 1급 시험    
        2003 지역사회복지계획 의무화(2005년 시행)-2007년 실질화    
        2004 광역자활센터 시범 설치-인천,대구,경기
2008-부산,강원,전북     2010-서울-현재31개 지역자활
2013-광주,충북,경남    
2014.3월 현재 10개소->13개
        2005 지방분권-분권교부세 도입    
        2005 긴급복지지원법(5년 한시법)-2006시행-2009영구법
        2006 주민생활국 설치    
        2010 사회복지통합관리망 구축    
        2010 장애인연금법-중증장애인 대상    
        2012.08 광역자활센터    
        2014 절대적 빈곤->상대적 빈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