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들이 새롭게 보인다. 클림트의 키스 ㅋㅋ
식재디자인의 황금규칙
식물 수집광이 아닌 디자인의 변화와 통일성이 중요.
9가지 주제를 감안해서 의미있게 의도 해야.
덜어내기 / 넓은 면적일수록 좋다 / 축적과 비율 확인하기 / 통일성 추가 / 반복하기 / 리듬감주기 / 조화와 다양성 /
집중 / 균형맞추기
덜어내기
매트릭스 식재와 강조 식재 선택, 20가지 수종이 적합 (계절, 시간, 날씨에 따른 변화)
넓은 면적일수록 좋다.
가운데 보도를 놓는 것보다. 덩어리로 큰 면적을 만드는게 좋음
축적과 비율 확인하기
건축에서는 절대적인 요소이나 디자인은 의도적으로 깨는데서 개성, 본인 만의 색깔을 표현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감안
길의 형태와 폭, 소재
* 휴먼스케일(특히 산업디자인): 정원디자인에서는 무시되는 경향
- 연령, 어깨, 무릎, 발폭, 시선 위치
-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쉼 산책 등에 필요한 휴먼스케일(벤치 크기)
->불편하면 의도했다해도 좋지 않음-불편 최소화
통일성
색, 형태, 소재 * 이질감: 조경, 건축의 설계, 시공의 분리로 발생 가능
반복하기
그라스의 디자인 반복이 세련됨 *과거에는 반복을 유치하게 생각했음.
리듬감 주기(일종의 반복)
반복되는 상록수, 그라스에 키와 양으로 리듬감 줌.
악보에서 반복되는 음표의 높낮이를 연상할 수 있음 &식물 형태
조화와 다양성
통일감이 아닌 조화로움(우측이 더 조화로운 이유): 배경과 주제가 명확할 때
시간애를 정해서 주연과 조연 역할을 분담하고 또 나머지 시간대에서도 변화를 주어 주연과 조연 역할 줄 수 있음.
초점
상징목 또는 칼라 활용 조화와 밸런스 유지 *일소점, 다소점
스토리가 있는 정원은 설명의 재미와 이유가 있다.
균형맞추기
밸런스 조절 * 황지애작가의 주제원 정원: 관목 사이즈, 수형 관찰할 것.
산업디자인은 균형을 많이 깨는 경향 (건축의 균형은 제일 중요시)
식재 구성방법
식물 선택 후 스타일을 선택하는 경향
다층식재 / 삼각형&피라미드 식재 / 덩어리 & 블록 식재 / 드리프트 식재 / 혼합 & 랜덤 식재
다층식재
식물의 크기, 컬러, 형태 *보더가든(영국) -> 포인트는 구근류
*주제원 너도밤나무 정원: 그라스(크기, 개화시기, 이삭유무, 성장속도 등 감안 / 시드번식 최소화 수종 선택) 정원
시점: 정면 또는 측면
계절별 주연을 변화시킴 * 특히 장마 전후에 큰 변화(그라스 장마 후 성장 큼)
삼각형 & 피라미드 식재
삼각형의 형태(정삼각형, 직삼각형...)로도 변화 줌 *포켓가든(자투리땅의 정원-교목 활용)
* 목본류 활용 많은 역삼각형도 가능
덩어리 & 블록 식재
짝꿍 선택이 중요 * 번식 좋은 식물끼리, 연약한 식물끼리 짝을 해야 적응이 좋음
* 뿌리: 천근성+직근성
혼식 - 개화시기: 샤스타데이지(봄)-아스타(가을)
도복성 보완: 바늘꽃, 부처꽃 - 실새풀 종류(???)
큰등꽃나물: 실새풀 혼식 (실새풀이 일종의 칼커스트??? 역할)
드리프트 식재 *그라스가든, 락가든에 활용
폭이 있는 식물 선택: 매트릭스식재(거의 같은 식물)의 패턴에 포인트 식재로 흐름 줌.
계절, 장마 전후 변화로 주연이 바뀜 (주연 2가지로 가능)
혼합 & 랜덤 식재
*구근 활용
식재 볼륨감
균형미에서 리듬감 *허브정원, 그라스 정원 (목본이 안 들어간 경우)
주제원 현장 실습
- 사색의 정원
- 대청 뒷마당 - 대류현상 유도 * 우측의 샘과 폭포에서 대류 발생
- 바위의 2/3를 땅 속에 묻음 - 모두 한 덩어리였으나 풍화와 구름으로 지금의 자리와 형태가 만들어졌음을 표현
* 작업과정(김응찬 작가?): 돌은 던지듯이-> 흙 덮음
황지해 작가 정원에서 한옥을 보면 풍기초의 흐름, 한옥 촛점 경관, 빌딩의 모습도 계산된 것.
물의 원천: 물의 시작점을 표현(샘)
수련 종류도 특별함. / 별정향, 향기부들, 억새...
상록수의 드리프트 / 관엽의 드리프트 / 참싸리 덩어리 / 2/3 묻힌 바위
샘-연못의 흐름이 수묵화를 연상
수크령, 여백의 미
정자가 촛점경관
포켓가든 하나하나 삼각형 구도
털수염풀의 깊이감
고사리, 음지식물, 바위, 호스타
고사리, 이끼
촛점: 홍단풍
동향 / 움푹 파인 경관: 바람 만들고 습도 유지
관중, 노루오줌, 산수국, 낮은 홍단풍
서향
고인돌의 풍열
좌측이 높으면서 우측은 색이 달라 눈의 흐름을 유도함.
큰돌, 능선, 웅덩이, 바위 * 모두 큰 돌에서 시작되었음을 표현
산 정상을 표현(야생화 식재)
너도밤나무가 병풍(벽)처럼 보임 - 배경에 불과
너도밤나무 역할이 바뀜
층위식재
층위식재 * 고광나무 향
타원형 층위식재 안에 허브 정원
그라스 수종으로 층위식재 / 리듬감 / 드래프트
무늬 억새, 에키네시아 등의 블럭식재
8개 정원
서울식물원 스케치
'♣작은 정원이야기 > 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일차] 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0) | 2025.06.22 |
---|---|
[4일차] 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0) | 2025.06.16 |
[2일차] 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4) | 2025.05.23 |
[1일차] 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0)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