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정원이야기/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3일차] 정원식재 디자인 전문가 양성교육

FloralPig 2025. 6. 1. 21:50
반응형

조각들이 새롭게 보인다.  클림트의 키스 ㅋㅋ

 

식재디자인의 황금규칙

식물 수집광이 아닌 디자인의 변화와 통일성이 중요.

 

9가지 주제를 감안해서 의미있게 의도 해야.

덜어내기 / 넓은 면적일수록 좋다 / 축적과 비율 확인하기 / 통일성 추가 / 반복하기 / 리듬감주기 / 조화와 다양성 / 

집중 / 균형맞추기

 

덜어내기

매트릭스 식재와 강조 식재 선택, 20가지 수종이 적합 (계절, 시간, 날씨에 따른 변화)

 

넓은 면적일수록 좋다.

가운데 보도를 놓는 것보다. 덩어리로 큰 면적을 만드는게 좋음

 

축적과 비율 확인하기

건축에서는 절대적인 요소이나 디자인은 의도적으로 깨는데서 개성, 본인 만의 색깔을 표현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 감안

길의 형태와 폭, 소재

* 휴먼스케일(특히 산업디자인): 정원디자인에서는 무시되는 경향

   - 연령, 어깨, 무릎, 발폭, 시선 위치

   -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쉼 산책 등에 필요한 휴먼스케일(벤치 크기)

   ->불편하면 의도했다해도 좋지 않음-불편 최소화

 

통일성

색, 형태, 소재  * 이질감: 조경, 건축의 설계, 시공의 분리로 발생 가능

 

반복하기

그라스의 디자인 반복이 세련됨  *과거에는 반복을 유치하게 생각했음.

 

리듬감 주기(일종의 반복)

반복되는 상록수, 그라스에 키와 양으로 리듬감 줌.

악보에서 반복되는 음표의 높낮이를 연상할 수 있음  &식물 형태

 

조화와 다양성

통일감이 아닌 조화로움(우측이 더 조화로운 이유): 배경과 주제가 명확할 때

시간애를 정해서 주연과 조연 역할을 분담하고 또 나머지 시간대에서도 변화를 주어 주연과 조연 역할 줄 수 있음.

초점

상징목 또는 칼라 활용  조화와 밸런스 유지 *일소점, 다소점

스토리가 있는 정원은 설명의 재미와 이유가 있다.

균형맞추기

밸런스 조절  * 황지애작가의 주제원 정원: 관목 사이즈, 수형 관찰할 것.

산업디자인은 균형을 많이 깨는 경향 (건축의 균형은 제일 중요시)

 

식재 구성방법

식물 선택 후 스타일을 선택하는 경향

다층식재 / 삼각형&피라미드 식재 / 덩어리 & 블록 식재 / 드리프트 식재 / 혼합 & 랜덤 식재

 

다층식재

식물의 크기, 컬러, 형태  *보더가든(영국) -> 포인트는 구근류

*주제원 너도밤나무 정원: 그라스(크기, 개화시기, 이삭유무, 성장속도 등 감안 / 시드번식 최소화 수종 선택) 정원

 

시점: 정면 또는 측면

계절별 주연을 변화시킴  * 특히 장마 전후에 큰 변화(그라스 장마 후 성장 큼)

 

삼각형 & 피라미드 식재

삼각형의 형태(정삼각형, 직삼각형...)로도 변화 줌  *포켓가든(자투리땅의 정원-교목 활용)

* 목본류 활용 많은 역삼각형도 가능

 

덩어리 & 블록 식재

짝꿍 선택이 중요 * 번식 좋은 식물끼리, 연약한 식물끼리  짝을 해야 적응이 좋음

                          * 뿌리: 천근성+직근성

혼식 - 개화시기: 샤스타데이지(봄)-아스타(가을)

          도복성 보완: 바늘꽃, 부처꽃 - 실새풀 종류(???)

          큰등꽃나물: 실새풀 혼식 (실새풀이 일종의 칼커스트??? 역할)

큰등골나물 (Eutrochium_maculatum)
부처꽃

 

 

드리프트 식재  *그라스가든, 락가든에 활용

폭이 있는 식물 선택: 매트릭스식재(거의 같은 식물)의 패턴에 포인트 식재로 흐름 줌.

계절, 장마 전후 변화로 주연이 바뀜 (주연 2가지로 가능)   

 

 

 

혼합 & 랜덤 식재

*구근 활용

식재 볼륨감

균형미에서 리듬감  *허브정원, 그라스 정원 (목본이 안 들어간 경우)

 

주제원 현장 실습

 - 사색의 정원

- 대청 뒷마당 - 대류현상 유도  * 우측의 샘과 폭포에서 대류 발생

- 바위의 2/3를 땅 속에 묻음 - 모두 한 덩어리였으나 풍화와 구름으로 지금의 자리와 형태가 만들어졌음을 표현

  * 작업과정(김응찬 작가?): 돌은 던지듯이-> 흙 덮음

 

황지해 작가 정원에서 한옥을 보면 풍기초의 흐름, 한옥 촛점 경관, 빌딩의 모습도 계산된 것.

물의 원천: 물의 시작점을 표현(샘)

수련 종류도 특별함.  / 별정향, 향기부들, 억새...

 

 

 

 

상록수의 드리프트 / 관엽의 드리프트 / 참싸리 덩어리 / 2/3 묻힌 바위

샘-연못의 흐름이 수묵화를 연상

수크령, 여백의 미

정자가 촛점경관

포켓가든 하나하나 삼각형 구도

털수염풀의 깊이감

솔잎금계국

고사리, 음지식물, 바위, 호스타

호스타

고사리, 이끼

촛점: 홍단풍

동향 / 움푹 파인 경관: 바람 만들고 습도 유지

관중, 노루오줌, 산수국, 낮은 홍단풍

서향

관중
노루오줌

고인돌의 풍열

좌측이 높으면서 우측은 색이 달라 눈의 흐름을 유도함.

큰돌, 능선, 웅덩이, 바위  * 모두 큰 돌에서 시작되었음을 표현

산 정상을 표현(야생화 식재)

너도밤나무가 병풍(벽)처럼 보임 - 배경에 불과

너도밤나무 역할이 바뀜

층위식재

층위식재 * 고광나무 향

타원형 층위식재 안에 허브 정원

그라스 수종으로 층위식재 / 리듬감 / 드래프트

무늬 억새, 에키네시아 등의 블럭식재

8개 정원

 

서울식물원 스케치

 

 

 

 

 

728x90
반응형